Search

코로나가 방아쉬 당긴 '쩐의 전쟁'…커지는 환율전쟁 포성 - 이데일리

was-trend-was.blogspot.com
사진=AFP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코로나19가 각국의 경제위기를 초래하면서 총성없는 ‘환율전쟁’의 그림자가 짙어지고 있다. 금리의 약발이 다하면서 각국이 양적완화를 통해 유동성 공급에 나서면서 결과적으로 통화약세 정책를 촉발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3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미국 달러지수는 7월 중 95.5에서 8월 들어 93.0으로 코로나19 이후 최저를 기록하더니 9월엔 93.4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유로당 달러는 7월 중 1.147에서 8월 1.182로 초강세를 나타내다 9월 들어서는 1.178로 상승세가 누그러졌다.

최근 달러값은 유로지역의 부양안 소식에 따라 일희일비했다. 2018년 이후 처음으로 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회의에서 환율이 언급됐다. 지난 10일(현지시간)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는 이날 통화정책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회의에서 유로화 평가절상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유로화 초강세를 견제한 발언으로 해석했다.

영란은행 총재도 유로존이나 일본의 중앙은행들처럼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할 경우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고 있다고 밝혀 유로화 약세를 유도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ECB가 향후 자산매입 등 완화적 통화정책 추가 도입 등으로 유로화 약세를 유도할 가능성이 커졌다”며 “이에 따라 환율전쟁으로 확전될 가능성이 대두된다”고 언급했다.

수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경쟁적으로 자국 통화 약세를 도모하는 것을 ‘환율전쟁’이라고 한다. 국가간 이해관계가 결부돼있어 환율을 직접 정책의 목표로 삼아선 안된다는 암묵적 합의가 있다.

다른 나라의 반발을 무릅쓰고 최후의 보루인 환율에 개입하는 것은 경제위기 등 최악의 상황에서 주로 등장한다. 미국 산업 경쟁력 악화에 대응하는 보호무역주의가 강해질 때도 약달러를 유도하기 위한 공세가 나타난다. 하지만 이같은 암묵적 합의를 무너뜨리지 않으면서 노골적이지 않게 자국 통화의 약세를 유도할 수 있는 것이 유동성 공급이다.

유로존 근원 소비자물가가 두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가 짙어지고 유럽의 코로나19 재확산세는 9월 이후 심각해졌다. 시장에서는 ECB가 올 연말 각종 부양카드를 내놓을 것이란 예상을 하고 있다.

코로나19는 미국과 중국간의 환율전쟁 위기를 다시 불러오기도 했다. 지난해 8월 무역전쟁이 정점으로 치닫는 상황에서 위안화 환율은 급등해 ‘포치(破七·7위안 돌파)’가 이뤄졌고 이에 미국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며 대응했다. 1차 무역합의가 이뤄지면서 미국은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정을 해제하면서 분위기는 잠잠해지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후 중국의 위안화 절하 고시로 다시 촉발됐다. 위안화가 7.1위안을 돌파하자 미국의 의도와 관계없이 환율전쟁 양상이 벌어졌다.

환율전쟁은 한국과 신흥국엔 타격이다. 환율 변동성 증가와 자본유출입 등 통제하기 힘든 변수이기 때문이다.

김소영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환율전쟁으로 자본유출입 속도가 빨라지면 외국인 투자자 의존도가 높은 한국 금융시장이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전했다.

Let's block ads! (Why?)

기사 및 더 읽기 ( 코로나가 방아쉬 당긴 '쩐의 전쟁'…커지는 환율전쟁 포성 - 이데일리 )
https://ift.tt/30xZ6kn
비즈니스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코로나가 방아쉬 당긴 '쩐의 전쟁'…커지는 환율전쟁 포성 - 이데일리"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